
목차 1. 특성학과 천체역학 관련 2. 이론천문학에 대하여 3. 행성천문학이란 1. 특성학과 천체역학 관련 측성학이란 전통적인 자연과학 분야에서 가장 오래된 것중의 하나로서 천체의 위치를 알아내는 학문 분야중의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봤을때 해와 달, 행성 및 별들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내는 것은 달력을 만들거나 항해를 할때 아주 필수적인 일들이었다. 측성학 분야는 행성위치를 아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 인해서 중력의 섭동현상에 대해 잘 이해가 되게끔 기여한 바가 있으며 이것은 행성의 위치를 정확하게 예측해 낼 수 있는 천체역학의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다. 근래에는 지구와 가까운 천체들을 추적함으로써 혜성 또는 소행성들이 지구와의 충돌을 회피하게끔 예측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가까운 별들 사이의 연주..

목차 1. 전파천문학 2. 적외선천문학 3. 광학천문학 4. 자외선천문학 5. X-선 천문학 6. 감마선천문학 7. 그외 천문학 여러 천문학 분야로 나눠지게 되는 천문학은 대체로 천체로부터의 가시광이나 일반적인 다른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서 정보를 얻게 된다. 관측천문학은 천체에서 나오는 전자기파의 파장대별로 나눌수가 있따. 지구에서 관측 가능한 파장대 빛도 있긴 하지만 어떤 영역대에서는 아주 높은 지대나 우주에서만 가능하기도 하다. 1. 전파천문학 전파천문학은 대략 1mm 보다 좀 더 긴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관측천문학 분야와는 다르게 관측된 전파를 개개 광자로 다루기 보다는 파동으로서 다루게 된다. 따라서 짧은 파장 영역 전자기파와는 다르게 전파 세기 뿐만 아니라 위..

목차 1. 천문학의 발전 2. 천문학에서의 과학적 혁명 3. 관측천문학 1. 천문학의 발전 천문학은 고대 그리스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는데 고대의 그리스 천문학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 아주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물리적 해답을 구하려고 노력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기원전 3세기 경에는 그리스 아리스타르코스라는 사람이 지구 크기를 계산해 내었고, 달과 태양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측정해 내었다. 그리고 그는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2세기 경에는 히파르쿠스라는 사람이 세차운동을 발견하게 되었고 달의 크기와 지구에서의 거리를 처음으로 계산하였고, 어스트로랩이라는 천문기구를 발명하기도 하였다. 히파르쿠스는 아주 방대한 양인 1020개의 별 목록을 만들었으며, 북반구 대부분의..

더보기 목차 1. 천문학이란? 2. 천문학의 어원 1. 천문학이란? 천문학은 우주에 있는 별, 행성, 은항 등과 같은 천체와 지구밖에서 비롯되는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분야라고 말할수 있다. 오래전부터 유래되어 온 몇가지의 별자리 이름이나 그것에 얽힌 전설 그리고 별의 이름, 은하수를 미리내라고 하는 고유명사를 한번쯤을 들어봤을 것이다. 이것은 한국에서도 중국과는 별개로 독특한 천문학적인 지식이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우주의 기원, 진화, 그리고 천체의 운동 및 물리, 기상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천문학은 사람들이 우주에 관심을 가지면서 시작된 아주 오랜된 학문중의 하나이다. 고대에서는 여러 문명들에게서 피라미드나 스톤헨지 등과 같은 천문학적인 유물들이 남아 있으며, 그리스, 인도, 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