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천문학이란?
2. 천문학의 어원
1. 천문학이란?
천문학은 우주에 있는 별, 행성, 은항 등과 같은 천체와 지구밖에서 비롯되는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분야라고 말할수 있다. 오래전부터 유래되어 온 몇가지의 별자리 이름이나 그것에 얽힌 전설 그리고 별의 이름, 은하수를 미리내라고 하는 고유명사를 한번쯤을 들어봤을 것이다. 이것은 한국에서도 중국과는 별개로 독특한 천문학적인 지식이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우주의 기원, 진화, 그리고 천체의 운동 및 물리, 기상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천문학은 사람들이 우주에 관심을 가지면서 시작된 아주 오랜된 학문중의 하나이다. 고대에서는 여러 문명들에게서 피라미드나 스톤헨지 등과 같은 천문학적인 유물들이 남아 있으며, 그리스, 인도, 마야 문명 등과 같은 동양과 서양의 문명들에게서 우주에 대한 수많은 기록들이 남겨져 있다. 그러나 과학이 발전해 망원경이 발명함으로 인해 천문학은 현대과학으로 진화하게 된다. 역사적을 봤을때 천문학은 역법, 천체항법, 점성술 등 수많은 분야가 속해 있었고, 현재 천문학은 물리나 화학 수학 등을 적절히 잘 활용하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 지구상에 있는 전파망원경, 그리고 요 최근에 우주로 쏘아올려진 웹스터 망원경 등 우주를 관측하는 장비들에 대한 제작과 지구 위 우주로 가져다 놓는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천체의 움직임에서 가장 크게 좌우되는 것은 중력이어서 그 유명한 아인쉬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을 많이 활용하고 있고, 태양에서와 같이 핵융합이라든지 중성자별, 블랙홀 등 연구에서 물리학이나 화학 등과 같은 여러 분야의 학문들이 활용되고 있다. 20세기에서의 천문학 분야는 관측분야와 이론분야로 크게 2가지로 나눠지게 된다. 관측천문학은 천체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물리적 분석을 하는 것이고, 이론천문학은 천체 현상들에 대해 컴퓨터나 수학을 활용하여 천체에 대한 설명하는 모델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렇듯 이 두가지 분야는 서로 상호보안적이고, 이론천문학에서는 관측결과를 설명해주는 기본적인 부분을 제공하고, 관측천문학에서는 이런 이론적인 결과들을 실제로 증명해 주는 역할을 한다. 천문학은 여러 자연과학 분야중에서도 아마추어들이 공헌을 많이 한 분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은 특히나 혜성, 소행성 그리고 초신성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우주 현상들을 발견하기도 하고 관측하는 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해왔다는 것은 사실이다. 천문학은 점성술과는 다른데 점성술이 천문학과 그 뿌리가 같다고 해도 완전히 다른 분야이다. 점성술은 우주에서 천체들의 위치가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서 실제로는 자연과학의 분야에 속하지는 않는다.
2. 천문학의 어원
천문학의 단어인 astronomy는 별을 뜻하는 그리스어인 astron 과 그리고 법칙 및 문화를 뜻하는 nomos에서 유래가 되었다. 이것은 말 그대로 별의 법칙이라 말할수 있다. 천문학은 점성술학과 헷갈리면 안되고, 이 두분야가 공통적인 부분을 공유한다 하더라도 완전히 구별되는 서로 다른 분야라고 말할수 있다.일반적으로는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은 같은 의미로 쓰이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천문학은 지구 외의 우주공간에서의 물체 즉 행성이나 별들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라 말할수 있고, 천체물리학은 천문학의 한 분야이긴 하지만 천체 또는 천문현상에서의 물리적인 운동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라 말할수 있을것이다. 측성학 같은 아주 전통적인 천문학에 가까운 분야도 있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천문학 연구에서는 물리학과 관련된 것들을 많이 연구하고 있고 실제로 이것들을 천체물리학으로 부를수도 있다. 여러 연구소 나 대학에서 어떤 역사적인 이유 또는 그들이 활동하는 학위에서 천문학과나 천체물리학이라는 용어로 주로 불리운다. 천문학은 아주 오래전부터 인간이 우주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일찍 만들어진 학문이라 말할수 있다. 사람들은 농사나 날씨 예측 그리고 해양 및 지리관측, 측량을 하기 위해 관심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스톤헨지같은 아주 기하학적으로 멋진 천문학적 목적을 지닌 것으로 추측되는 유적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오늘날과 같은 천체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에는 우주를 관측하기 위해 아주 높은 곳으로 가서 육안으로 관찰하곤 하였다. 그 이후에 문명이 발달하게 되면서 메소포타미아 지방이나 중국, 그리스, 인도, 마야 등과 같은 곳에서 천문대가 세워졌고, 그때서야 비로서 우주에 대한 심도있는 탐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초창기의 천문학은 오늘날에 측성학으로 잘 알려진 우주에서 별과 행성들의 위치를 측정하는것이 대부분 이었고 이러한 관측으로부터 행성의 운동, 태양, 달, 그리고 지구 등에 대한 항성이나 행성들에 대해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이 되었다. 그때만 해도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었고 태양은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한다고 굳게 믿고 있었다. 이것을 일컷어 천동설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모형이라고 불렀다. 바빌론에서 수학과 과학적 천문학이 시작되었고, 바빌론의 천문학자들은 월식이 어떤 주기를 가지고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 이후에 다른 문명들에서 발달될 천문학적인 지식의 기반을 쌓게 되는 기초가 되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학의 기원과 역사 - (5) (0) | 2023.06.27 |
---|---|
천문학의 기원과 역사 - (4) (0) | 2023.06.26 |
천문학의 기원과 역사 - (3) (0) | 2023.06.26 |
천문학의 기원과 역사 - (2) (0) | 2023.06.26 |
천문학의 기원과 역사 - (1) (0)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