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외계행성 프록시마 2. 외계생명체 존재 가능성 3. 프록시마 b, c, d 1. 외계행성 프록시마 프록시마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프록시마는 알파 센터우리 a와 알파 센터우리 b 그리고 프록시마 센터 우리로 삼중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알파 센터우리 a와 알파 센타우리 b는 쌍성계로서 프록시마 센터 우리는 두 별의 바깥을 도는 공전주기가 55만 년으로 알려진 적색왜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와의 거리가 4.22광년밖에 안되는 거리에 있으며 센타우르스자리에 있는 세 개의 알파성 중 하나로서 프록시마 센터우리라고도 불립니다. 태양을 제외하고 지구와 가장 가까운 항성이라는 의미로 가깝다는 뜻의 단어로 프록시마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습니다. 프록시마 항성 자체는 일반적인 ..

목차 1. 초신성이란? 2. 초신성의 생성방법 3. 초신성의 발견 1. 초신성이란? 초신성이란 단어의 의미 그대로 신성보다 아주 큰 에너지를 방출하며 폭발한 별을 의미합니다. 초신성은 그 밝기가 엄청나게 밝으며, 그 밝기가 어두워질 때까지 몇 주에서 몇 개월이 걸린다고 합니다. 이 초신성의 밝기는 거의 은하 한 개에 버금가는 밝기로 빛이 납니다. 이 짧은 순간의 폭발로 인해 초신성은 태양이 소멸할 때까지 방출하는 에너지 정도의 양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초신성의 폭발로 인해서 별은 구성물질의 거의 전체를 에너지로 다 방출시켜 버립니다. 그리고 이 폭발할 때 그 주위의 성간매질에 큰 충격파를 일으키게 됩니다. 그 충격파가 지나간 자리에는 팽창되는 가스 및 먼지들이 남게 되고 이것을 소위 초..

목차 1. 퀘이사 이름의 유래 2. 우주 초기의 천체들 3. 초거대질량 블랙홀 1. 퀘이사 이름의 유래 퀘이사는 초거대질량을 가진 블랙홀을 의미한다. 이러한 퀘이사는 그 밝기가 태양의 최대 700조 배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빛을 내는 모든 파장영역에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함으로 인해서 지구에서 아주 먼 거리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측이 가능한 천체 중의 하나이다. 퀘이사는 처음에 은하와 같이 넓게 펼쳐져서 보이는 천체가 아니라 별처럼 하나의 발광하는 천체로 보이는 전파원이라는 뜻의 quasi-stellar radio source의 약자로서 quasar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그렇지만 퀘이사는 전파만을 방출하는 천체는 아니다. 퀘이사는 전파뿐만 아나라 거의 모든 파장대에서 아주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하..

목차 1. 블랙홀의 촬영 스토리 2. 블랙홀이 가진 특징 1. 블랙홀의 촬영 스토리 실제로 블랙홀이 촬영된 것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이다. 그전까지는 과학자들의 이론으로만 존재했었지만 과학기술과 관측기술의 발달로 인해 실제로 우리 인류의 눈으로 블랙홀의 실체를 확인하게 된 것이다. 인류는 2019년에 최초로 블랙홀을 촬영하게 되는데 EHT라는 이름을 가진 팀이 이루어낸 성과였다. EHT는 Event Horizon Telescope 약자로서 말 그대로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을 촬영을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실제 촬영한 블랙홀은 M87이라는 블랙홀로서 촬영사진을 보면 블랙홀 주변에 빛의 띠가 둥글게 휘감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측정된 바로는 이 블랙홀은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65억 배 정도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