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중력파 검출 2. 중력파 검출이 힘든 이유와 해결방법 1. 중력파 검출 앞서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에서 중력파를 인류최초로 검출하는데 성공하였다고 하였다. 이것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지구에서 13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서의 쌍성계가 충돌하면서 엄청난 질량의 블랙홀이 탄생하였는데 이때 중력파가 발생하였고 이 중력파를 잡아낸 것이다. 이때 최초의 중력파를 검출한 이후에 세 개의 추가적인 중력파를 더 검출해 내었다. 두번째 중력파는 각각 태양 질량의 14배, 8배인 블랙홀이 합쳐지면서 태양질량의 21배의 블랙홀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루이지애나 주립대 교수인 곤잘레스 교수가 언급하기를 이번 검출은 블랙홀 질량이 최초 중력파를 만들어 낸것보다 가벼워서 검출기에서의..

목차 1. 중력파란? 2. 중력파 검출 방법 1. 중력파란? 중력파는 1905년 앙리 푸앵카레가 최초로 중력파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1915년에 아인쉬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중력파의 존재를 처음으로 예측하였다. 하지만 관측되기에는 너무나 작아서 그당시 기술로는 측정되지가 않았고 100년이 지난 이후에 그것도 직접적으로 관측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만 관측되었다. 그러다가 2015년에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에서 중력파 검출이 최초로 성공함으로 인해 중력파의 존재를 학계에 보고하게 되었다. 그리고 중력파를 관측해낸 3명의 물리학자는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이런 중력파는 시공간 즉 시간과 공간이 출렁거릴때 그것이 파동으로 전달되어 움직이고 있는 물체나 어떤 ..

목차 1. 암흑물질에 대한 반대 의견 2. 중력렌즈에 대하여 3. 암흑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의 질량 1. 암흑물질에 대한 반대 의견 과학자들은 중력은 있으면서도 다른 물질이나 빛에는 상호작용하지 않는 미지의 물질인 암흑물질에 대해서 가설을 세운것에 대해서 반대하는 견해도 다수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물질의 성질을 가지지도 않으면서 중력에 대한 것만 설명할수 있는 건 너무 논리가 빈약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페르미온, 하드론, 그리고 보손 등 양자역학 조건을 만족하는 입다들 중에서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은 없었다. 양자역학에서 예측된 입자들 중에서 아직까지 발견이 안된 것은 있어도 예측이 안된 입자가 발견된 적은 없으므로 암흑물질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얻게 된다. 암흑물질보다는 양자역..

목차 1. 우주에서의 구조적인 면 2. 빅뱅당시의 핵융합 3. 암흑물질이 존재하진 않는 은하 1. 우주에서의 구조적인 면 관측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은하 외에도 우주에는 수많은 은하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에는 이러한 은하들이 아주 넓은 우주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려지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에 대해서 수많은 과학자들과 천문학자들이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중 마거릿 겔러와 존 허크라라는 과학자들이 우주에 분포하고 있는 은하들을 하나하나 분광으로 관측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로 그 수많은 은하들이 서로 연결된 것과 같은 벽의 존재 구조인 그레이트 월을 1989년 애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은하가 거의 없거나 그 수가 아주 적은 공동이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그들은 계..